본문 바로가기
건강 관련

목덜미에 멍울이 생기는 이유의 특징

by ☎▒▦▩○▒㈜ 2025. 10. 16.
반응형

목덜미에 멍울이 만져지는 것은 임파선(림프절), 침샘, 갑상선 등 다양한 조직에 이상이 생겼음을 의미하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멍울은 크기와 통증 유무, 단단한 정도에 따라 원인이 달라지며, 대부분은 일시적인 염증으로 인한 것이지만 악성 종양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목에 멍울이 생기는 주요 이유 5가지와 그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마사지를 받고 있는 남자

목덜미에 멍울이 생기는 이유

1. 임파선염 및 림프절 비대

목에 멍울이 만져지는 가장 흔한 원인은 임파선(림프절)에 염증이 생겨 부어오르는 임파선염입니다. 림프절은 우리 몸의 면역 기관으로, 외부에서 침입한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싸우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커지게 됩니다. 감기, 편도염, 구내염 등 상기도 감염 후에 주로 발생하며, 이 경우 멍울을 누르면 통증이 느껴지고 비교적 부드럽게 움직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원인이 되는 감염이 사라지면 림프절도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지방종 및 표피 낭종

목덜미나 목 옆쪽에 만져지는 멍울이 염증과 통증 없이 말랑말랑하거나 고무처럼 단단하게 만져진다면 지방종이나 표피 낭종과 같은 양성 종양일 수 있습니다. 지방종은 피하 지방 조직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만졌을 때 부드럽게 움직이며 통증이 없습니다. 표피 낭종은 피부 아래에 생기는 주머니로, 안에는 각질과 피지 등이 들어 있어 짜면 내용물이 나오기도 합니다. 대부분 미용상의 문제 외에는 심각하지 않습니다.

3. 침샘 비대증 및 종양

턱 밑이나 귀밑(이하선) 주변에서 멍울이 만져진다면 침샘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침샘 비대증은 잦은 과음이나 구토를 반복하는 등 침샘을 자극하는 습관으로 인해 침샘이 비대해져 멍울처럼 만져지는 현상입니다. 반면, 침샘 종양(타액선종양)은 침샘에 생긴 혹으로, 서서히 커지며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침샘 종양의 대부분은 양성이지만, 악성 종양(침샘암)일 경우 안면 마비나 감각 이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4. 갑상선 결절 및 암

목의 앞 중앙 부위에 멍울이 만져지거나, 침을 삼킬 때 멍울이 위아래로 같이 움직인다면 갑상선 이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갑상선에 생기는 혹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며, 대부분 양성입니다. 하지만 결절이 단단하고 크기가 계속 커진다면 갑상선암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은 서서히 진행되어 초기에는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목 앞 중앙에 단단한 멍울이 만져진다면 반드시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5. 악성 림프종 및 전이암

목덜미에 만져지는 멍울이 통증이 거의 없으면서 돌처럼 단단하고 주변 조직에 유착되어 잘 움직이지 않는다면 악성 종양일 위험이 있습니다. 악성 림프종은 림프절 자체에 생기는 암이며, 다른 부위의 암이 림프절을 타고 목으로 전이된 전이성 암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40대 이상에서 멍울이 만져지고 특별한 이유 없는 체중 감소, 발열, 야간 발한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즉시 조직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참고 자료

하이닥 (건강 정보)

손목이 시큰거리는 이유의 원인 5가지

 

목덜미에 멍울이 만져질 경우, 크기 변화, 통증 유무, 단단한 정도 등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이 영상은 목에 멍울이 만져질 때 어떤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려줍니다.

댓글